-
자기혐오 극복, 자기수용 (자기혐오 치료)요약정리/상담심리사웃따 2021. 6. 11. 15:37
1. 자아정체성은 조건이 아닌 느낌이다.
자아정체성 : 조건적(성취, 칭찬, 인정등)인게 아닌 느낌적(든든하고 당당하고 떳떳한 느낌)인 것. -> 나를 실감한다.
나에 대한 느낌이 충분하지 않다보니 부족한 느낌을 채우기 위해 자해를 통해 자신을 느끼고 싶은 것.
- 자아정체성의 느낌을 조건을 걸어서(성취, 인정등) 이루어야만 확인된다는 것은 잘못된 것. 조건이나 성과는 나 자체일 수 없다. 단지 나를 이루는 내용 중 하나일뿐.
※ 정체성 = 나는 이미 나로 충분하다. 나는 무엇이 되지 않아도 이미 나다 인 것. 정체성 ≠ 조건 ※
2. 성격은 바꾸는 게 아니라 활용하는 것이다.
- 성격과 나를 동일시하면 안된다. 성격도 나의 내용 중 하나이다. 볶음밥에 있는 여러 재료 중 하나인 것처럼.
근데 그 재료 하나하나에 집착하고 붙잡혀서 살아가면 많은 에너지를 뺏기고 자기혐오를 느끼게 됨.
※ 성격장애로 인해 고치자는 부분은 일상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을 때 고쳐야한다는 거지 기질을 바꾸라는 말은 아님※
- 성격에 끌려다니면서 치이느냐 아니면 성격의 주인이 되어 잘 활용하며 살아가느냐를 결정해야 함.
어떻게?
▶ 내 성격을 잘 알아야함
▶ 모든 유형별 성격은 다른 것이고 모든 성격은 사회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
모든 성격들이 퍼즐조각처럼 모여 하나의 사회를 이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 성격유형검사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 성격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지를 고민해야함.
▶ 우리는 우리의 성격과 기질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내가 주인이 되어서 활용하는 주체이다. 주인이다
: 기질을 바꾸라는게 아니라 기질에 갇혀있지 말고 넘어서라는 것. 끌려다니지 말고 활용하라는 것.
충분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 것!!
'요약정리 > 상담심리사웃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독,잘난척,자아도취,자기연민,자기혐오_애정결핍 (0) 2021.06.14 열등감과 비교의식_원인과 해결 (0) 2021.06.14 자기혐오,죄책감,자기비하 뒤에 숨겨진 잘못된 자기사랑 (심리편) (0) 2021.06.11 자기애성 인격장애, 나르시스트 (0) 2021.06.10 감정표현 못하는 사람 혹은 감정적인사람, 공허한 사람, 진짜 나를 찾는 방법 (0) 2021.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