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면의 비판자 원인과 해결책요약정리/상담심리사웃따 2021. 6. 18. 16:01
- 내면의 비판자가 강한사람의 특징
내가 나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늘 내가 못마땅 하고 남의 눈치 항상 보면서 소심하게 행동함.
- 내면의 비판자가 강한이유
1. 초자아가 강한 기질로 타고남
2. 부모의 엄격한 양육방식
3. 예민해서 부모의 한 두번의 훈육에 크게 손상을 입음
4. 창피하고 수치스러웠던 여러 가지 경험
- 내면의 비판자가 생긴 원인 추측
아이의 주장과 뜻을 부모가 통제하고 억누르면서 부모 뜻대로만 아이를 조종했을 경우 아이는 화가 남(답답, 억울, 분노). 그런데 부모는 엄격한 통제자였기 때문에 아이는 분노를 표출하지 못함. 결국 아이는 그 화를 자기 자신에게 돌려서 자신의 주장과 욕구와 감정(나 자신의 모습)들이 올라올 때 그것을 죄책감, 수치심을 느끼게 됨.
꼭 부모가 무섭고 엄격한게 아니어도 아이 심성이 너무 착하다면 부모를 실망시키거나 힘들게 하는게 두렵기 때문에 부모의 기대에 맞추고자 그렇게 되기도 함.
내가 내 모습이 아닌 내 개성, 특성을 억누르고 이상적인 모습, 누군가 원하는 모습으로만 살아가려고 하기 때문에 내면의 비판자가 생기는 것.
부모님의 가치관 or 이상적인 인간상
▼
내면의 비판자
▼
못마땅해하고 비난하고 처벌
즉, 어릴때 부모님의 잔소리와 통제가 커서도 계속 나를 비판하고 조종하고 있는 것.
- 내면의 비판자와 함께할 때의 삶
1. 자유가 없다.
2. 자기수용이 없다.
항상 채찍질과 노력해야한다는 생각속에서 자기만족과 편안함 없이 이룰 수 없는 목표를 위해 쫓기듯 살게 됨. -> 남의 입맛에 맞는 삶을 살려고 한다는 의미
3. 자신의 결함과 실수만 보여서 스스로에게 실망만 함.
4. 장점에 대한건 부정하고 비판의 소리만 믿는다.
- 내면의 비판자로 인해
열심히 사는 사람 : 비판자에게 비판을 받지 않기 위해 엄청 치열하게 열심히 살고 실수를 매우 두려워 함.
열심히 살지 않는 사람 : 아주 큰 죄책감에 빠져 살고 자기혐오 하면서 삶.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남들보다 높다.
- 내면의 비판자를 고치는 방법
1. 내면의 비판자 인식하기
잔소리 알아차리기: 내면의 비판자를 인식하고 무슨 말을 하는지 들어본다.
냅두기 : 잔소리 하는 비판자를 억압하고 비난하고 입다물게 하려하지 말고 과거 내 자신의 일부라 생각하면서 냅둔다.
2. 내면의 비판자가 하는 말을 따르지 않는다
★ 나를 성찰하고 성장 시킬 때 비난, 죄책감 따위는 필요 없다!!는 걸 명심!!!
자아와 성찰의 차이
3. 이상적 자아 / 고치고 싶은 자아(별로 안 좋아하는 모습) 나열하기
4. 이상적 자아가 되지 못했을 때/ 별로 안 좋아하는 모습의 상태인 나에 대한 감정 체크하기
5. 왜 그런 감정인지 원인 찾아보기
- 왜 이런 모습에 대해서 창피하고 죄책감이 드는가?
- 왜 눈치가 보이는지?
등 질문하면서 어렸을 적부터의 성장과정을 되짚어 본다. (어떤 환경? 어떤 말? 어떤 경험? 때문인건지)
6. 비판은 팩트가 아님을 알기
내면의 비판자는 사람마다 비판하는 내용이 다 다름.
한 사람 안에 있는 절대적인 신념일 뿐 사실은 터무니없고 줏대없는 존재임.
즉, 내면의 비판자는 과거의 경험속에서 나온 상대적인 믿음일 뿐임.
※ 내면의 비판자는 진리가 아니다!! 팩트가 아니다!! 나의 환경이 나를 그렇게 억압했던 것일 뿐이야!! ※
'요약정리 > 상담심리사웃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긍정감을 갖는 3가지 방법 (0) 2021.06.21 죄책감 자주 느낀다면? 내 행동에 대한 부적절감 해결하기 (0) 2021.06.18 중독,잘난척,자아도취,자기연민,자기혐오_애정결핍 (0) 2021.06.14 열등감과 비교의식_원인과 해결 (0) 2021.06.14 자기혐오 극복, 자기수용 (자기혐오 치료) (0) 2021.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