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가짜자기 되는 두가지 원인과 진짜 나를 찾는 길요약정리/상담심리사웃따 2021. 6. 8. 15:44
* 가짜자기 : 부모가 원하는 모습으로 살아가는 사람. 어려서부터 사랑과 인정을 잘 받지 못하거나 조건부로 가치를 인정받았던 사람은 그 사랑과 인정의 본능을 계속해서 채우기 위해 상대방이 원하는 나로 살아가려고 한다. * 내재화 된 표상(주양육자, 의미있는 타인등)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된다. 즉, 내재화된 표상이 따듯한 사람은 세상은 따듯하고 안전하고 자유로운 곳, 표상이 무섭고, 엄격하고, 거부적이었다면 세상이 두렵고 불안하고 나를 받아주지 않는 곳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표상이 거부적인 사람은 스스로를 가치있고 사랑스럽다고 생각하는 힘이 자기 안에 없다. 따라서 자기 가치감을 타인에게서 얻으려고자 한다. 일종의 생존 방편. * 가짜자기 특징 : 거절 못함. 본인으로 인해 타인이 상처를 받는 다는 것을 ..
-
감정표현 못하는 사람, 자기 감정 모르는 사람_회피성성격2요약정리/상담심리사웃따 2021. 6. 8. 14:33
감정은 꼭 필요한 것이고 잘 활용하면 에너지가 되기도 한다. 1. 성공지향적, 목표지향적인 사람 감정을 목표를 방해하는 요소라고 생각, 또한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있는 자신을 보여주기 싫어함. 겉보기에 강해보기고 이성적으로 보임 2.가짜 자기 가짜 자기는 감정을 주로 삭힘. 그게 미덕이고 모두의 평화를 위하는 길이라고 생각하나 전혀 그렇지 않다. 나보다 상대방에게 맞춰줘야 한다는 생각때문에 내 감정을 무시하면서 생기는 스트레스가 차곡차곡 쌓여 결국 몸을 망치게 된다. 3. 트라우마, 상처있는 사람 너무 힘든 경험을 하게 되면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건과 감정을 분리하게 된다. -> 주지화, 이지화 : 방어기제 ex) 누가봐도 힘든 사건을 이야기하는데도 쿨하게 이야기하는 것 - 감정을 표현하지 않는 사..
-
누가 나를 싫어하는 것 같을 때_회피성성격 1요약정리/상담심리사웃따 2021. 6. 8. 14:06
대인관계에 유독 힘들어하는 사람의 특징은 상대방이 나를 싫어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머리로 생각하고 인지하는게 아니라 자동적으로 느껴짐. 그래서 사람을 대할 때 좀 부자연스럽고, 불편하고 그래서 모임에 안 나가고 싶지만 한편으로는 관계를 갖고 싶다. 마음은 친해지고 싶지만 차갑게 행동하거나 철벽을 치는 행동을 한다. 또는 친해지고 싶은 마음에 거짓 착함과 거짓 리액션을 과하게 보이기도 한다. 이유 : 사랑받을 자신이 없어서, 수용 될 자신이 없어서이다. 내가 관심있고 좋아하는 사람일 수록 왠지 나를 싫어하는 것 같아, 나를 귀찮아하거나 나를 별로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혼자 좋아하고 상처받고 철벽치는 북치고 장구치는 시츄에이숀을 벌이는거지. 물론 나를 싫어한다는 생각을 모두 부정..
-
부정적인 생각을 다루는 법요약정리/상담심리사웃따 2021. 6. 7. 15:33
생각은 멈추는 게 아니라 바꾸는 것 생각이 멈추지 않는다면 생각이 멈추지 않는 나 자신에 대해서 거부적으로 느끼기 보다는 수용적으로 느끼는 것이 낫다. ' 그런 생각할 수 있지~, 남들도 다 그러고 살아'라면서 생각 자체에 과도한 의미부여나 힘을 실어주지 않도록 한다. "이 생각 멈추야지 !" 가 아닌 "이 생각 바꿔야지~" 로 바껴야 한다. 다른 대안 사고, 대체 사고가 들어와야 원래 있딴 부정적 사고가 밀려 나간다. ex) 스트레스 받거나 불안한 일이 있을 때 수다 떨거나 TV, 핸드폰등을 보는 행동을 하는 이유는 잠시나마 그 생각을 멈출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완전히 해소해 주지는 않는다. 그 순간(수다떨기, TV&핸드폰보기) 이 지나가면 또다시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느낄테니까. 그러니 근본적으로..
-
삶의 힘은 의미에서 나와요 _ 아이디얼 / 황심소WPI요약정리/황상민 심리상담소 2021. 5. 27. 15:29
- 사연자는 어떤 일에 꽂혀서 시작했다가 시간이 지나면 이런저런 이유를 대면서 그만두는 일이 번복되면서 자책을 하고 있다. 그때 그때 꽂혀서 한다는 것은 리얼리스트적인 행동패턴이다. 아이디얼리스트적인 행동이라고 한다면 어떤 상황이던지간에 내가 꿈꾸는, 내가 하려고 한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식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내가 속한 곳에서 탈출하고 싶다는 것은 주어진 환경을 수용하고 적응하며 지내지않는 아이디얼리스트의 성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본인의 발전을 위해서 본인의 능력을 더 잘 발휘하는 형태의 전환인지의 여부를 고민해봐야한다. 내가 여기서 뭘 하고 있는가, 무엇을 위해서 하고 있는가, 내가 진짜 이걸 통해서 어떤 사람이 되고자 하는가? 에 대한 질문을 스스로에게 해야한다...
-
하기도 전에 불안과 고민이 가득해요-로맨M / 황심소 WPI요약정리/황상민 심리상담소 2021. 5. 27. 15:16
- M자는 주위에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을 우습게 본다. 왜냐하면 자신은 그냥 해도 이 정도인데 주변 사람들은 열심히 해도 자기보다 못 하거나 하기 때문이다. - M자형의 경우 로맨과 아이디얼을 왔다갔다 하는 경우가 많다. 자기가 하는 일 자체에 뿌듯함을 느끼고 자기 정체성을 잘 알고 있을 때 주로 아이디얼 M자형을 보인다. 일을 꾸준히 하지 못하고 3~6개월 뒤면 그만두고 싶어한다. 따라서 생계를 위해서 일을 선택하고 그 속에서 자기 나름대로 의미를 끊임없이 찾아야한다. - 절박함만으로는 안 된다. 사람들에게 자기를 보여주고 그리고 좋은 피드백을 끊임없이 받는 것이 필요하다. 어떤 일을 결정하기 전에 수많은 나쁜 변수들이 떠오른다. - 그냥 하면된다. 스스로 절박함을 만들어 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드..
-
하고 싶은게 없고 사는게 답답하고 무기력해요-아이디얼 / 황심소WPI요약정리/황상민 심리상담소 2021. 5. 26. 15:36
- 자기가 원하는 것을 찾는다라는 것은 나이먹어서도 고민한다. 따라서 20대에 자기가 무엇을 할 것인가는 자기가 원하는 것으로 찾는 것은 아니다. 자기가 원하는 것을 먼저 찾고 그것을 열심히하고 그리고 그걸 직업으로 삼는 것이 아니다. - 본인의 문제부터 알아야 한다. 본인이 뭘 해야하긴 하겠는데 원하지 않는다. 원하지 않는 일을 직업으로 하자니 적응하지 못하고 금방 관둘 것 같고 남들 다 도전하는 번듯한 직장을 하기엔 본인이 스펙이 뛰어나지 않기 때문에 본인한테는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사연자는 심리적으로는 절박하나 현실적으로는 절박하지 않는 상황이다. - 자기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답을 찾지 못하는 것이다. 사연자는 생각이 많고 고민이 많지만 자신이 생각하고 고민하는 것을 행..
-
인생에 현타오는 순간, 어떡하죠? - 아이디얼 / 황심소WPI요약정리/황상민 심리상담소 2021. 5. 26. 15:24
- 아이디얼성향의 사람들은 운명적으로 자기에게 부여된 소명이 뭘까? 나는 그 소명을 찾아서 해야지라는 생각을 한다. 사연자는 규정되어진 일보다 내가 할 수 있는 특별한 일을 원하는데 그 일을 하면서 일만 의미있어야되는 것이 아닌 나 자신 또한 의미있어야하고 남들한테 인정받아야 하는 것이다. 그럼 무엇을 통해 자기자신을 드러내고 인정받을 수 있을가를 생각해봐야한다. 그리고 그 일에 대해서 충분히 탐색을 해야한다. - 자신에게 의미있는 일에 대해서 충분히 탐색하지 않았을 때는 처음 시작했던 그 일에 있어서 나름대로 자신이 전문성을 드러낼 수 있을 때까지 해봐야한다. 그리고 그 다음에 다른 일을 시작할 생각을 해야하는 것이다. 사연자는 본인이 어떤 일을 하면서 그 일에 몰입하기 보다는 거기서 오는 스트레스나 ..